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운영체제] 8. 가상메모리 기초
    운영체제 2020. 1. 5. 15:05

    가상메모리

    -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프로세스에 커다란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

    -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어디에 있는지, 물리 메모리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신경쓰지 않고 메모리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가상메모리의 크기

    - 메모리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전체 크기는 물리 메모리와 스왑 영역을 합한 크기

     

     

    매핑 테이블

    - 가상 주소가 물리 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정리한 표

    - 페이징 기법에서는 페이지 매핑 테이블 또는 페이지 테이블이라고 부른다.

    -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세그먼테이션 매핑 테이블 또는 세그먼테이션 테이블이라고 부른다.

     

     

    페이징 기법

    - 고정 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

    - 물리 주소 공간을 같은 크기로 나눠 사용

    - 가상 주소의 분할된 각 영역은 페이지라고 부르며, 물리 메모리의 각 영역은 가상 주소의 페이지와 구분하기 위해 프레임이라 부른다.

     

     

   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

    - 직접 매핑 : 페이지 테이블 전체가 물리 메모리의 운영체제 영역에 존재하는 방식

    - 연관 매핑 : 페이지 테이블 전체를 스왑 영역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,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작을 때 사용

    - 직접-연관 매핑 : 연관 매핑의 문제를 개선한 방식으로, 페이지 테이블을 일정한 집합으로 자르고, 자른 덩어리 단위로 물리 메모리에 가져온다.

    - 역매핑 : 위의 세가지 매핑과 달리 물리 메모리의 프레임 번호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구성

     

     

    세그먼테이션 기법

    - 가변 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

    - 물리 메모리를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나눠 사용

     

     

    세그먼테이션-페이징 혼용 기법

    - 사용자 입장에서는 세그먼테이션 기법을 사용하고 메모리 관리자 입장에서는 페이징 기법을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

    - 메모리 보호 및 중복 정보를 세그먼테이션 테이블에서 관리함으로써 메모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'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운영체제] 10. 입출력 시스템과 저장장치  (0) 2020.01.05
    [운영체제] 9. 가상메모리 관리  (0) 2020.01.05
    [운영체제] 7. 메모리 관리  (0) 2019.12.22
    [운영체제] 6. CPU 스케줄링  (0) 2019.12.22
    5. 교착상태  (0) 2019.12.22
Designed by Tistory.